전체 글(408)
-
(TIL) 20210911
📕Facts(한 것) 카카오 코딩테스트 응시하기 백준 문제풀기 📕Findings(배운것) 이제는 정말 c++과 이별할때가 온 것 같다. c++에서의 문자열 핸들링은 정말... 최악이다.(내가 못하는 걸지도) 파이썬이 나를 부른다...얼른 가야겠다. 📕Feeling(느낀 점) 하루가 허무하게 지나가버렸다. 내일은 열심히 살아야지. 📕여담
2021.09.12 -
(TIL) 20210910
📕Facts(한 것) 데이터 베이스 수업 듣기 백준 문제풀기 줌 강의 듣고 토론하기 운동하기 클린 아키텍쳐 읽기 -> 아키텍처 📕Findings(배운것)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아키텍처란 시스템을 구축했던 사람들이 만들어낸 시스템의 형태다." 아키텍처를 책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그럼 어떤 형태에 따라서 결정이 될까? 시스템을 컴포넌트로 분할하는 방법, 분할된 컴포넌트를 배치하는 방법, 컴포넌트가 서로 의사소통하는 방식에 따라 그 형태가 정해진다고 한다. 물론 그 형태는 쉽게 개발, 배포, 운영, 유지보수가 되도록 만들어진다. 여기까지 보면 아키텍처는 단순히 동작하는 형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란걸 알게 될것이다. 그럼 어떤 아키텍처가 좋은 아키텍처인가? 책에서는 시스템을 쉽게 이해하고, 쉽게 개발하며,..
2021.09.10 -
(TIL) 20210906
📕Facts(한 것) 웹프로그래밍 수업듣기 -> 웹 개괄적 내용 운영체제 수업 듣기 -> 리눅스 기본 명령어 노마드 코더 챌린지 종료 제주도 갈 준비! 📕Findings(배운것) 웹 프로그래밍 수업을 정말 기대하며 신청했는데, 내가 이걸 왜 듣고 있나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아쉽다.) 운영체제 수업을 들으면서, 우리가 흔히 terminal에서 사용하는 mkdir, cd .. cd / rmdir 등등에 관한 것들을 배웠다. vi 명령어를 처음 사용해 보았는데, vi 로 파일을 생성하고, gcc 로 터미널에서 컴파일을 해봤다. 📕Feeling(느낀 점) 지난 번 제출한 앱개발 동아리에 서류를 넣었는데, 면접 보라고 연락이 왔다. 제주도 휴양(?) 중에 면접을 보는게 살짝 부담이긴 한데, 준비 잘 해서 합격..
2021.09.06 -
(TIL) 20210905
📕Facts(한 것) 클린 아키텍처 읽기 -> SDP 추가 백준 문제풀기 📕Findings(배운것) 컴포넌트는 안정된 정도만큼만 추상화되어야 한다. 앞서 SDP(Stable Dependencies Principle) 원칙에 대해 공부하면서, 컴포넌트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봤다. 그렇다면 컴포넌트가 안정적이면 항상 좋을까? 그렇지는 않다. 컴포넌트가 안정적이라는 것은 그만큼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소리와 같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컴포넌트가 안정적이어야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안정적인 컴포넌트도 있고, 불안정적인 컴포넌트도 존재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것들이 어떻게 존재하면 좋을까? 책에서는 변경 가능한, 즉 불안정한 컴포넌트가 안정된 컴포넌트에 의존하는 것이 이상적인 구조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늘 이상적인 구..
2021.09.06 -
(TIL) 20210903
📕Facts(한 것) 클린 아키텍쳐 읽기 -> SDP:안정된 의존성 원칙 백준 문제풀기 ->후위 표기식 학교 과제 제출하기 📕Findings(배운것) SDP 안정된 의존성 원칙. 컴포넌트는 더 안정된 컴포넌트에 의존하는 것이 좋다. 그럼 "안정된" 컴포넌트는 어떤 컴포넌트 일까? 책에서 아주 좋은 예시를 들어주었는데, 세워져 있는 동전을 예시로 들었다. 조그만한 외부의 자극에도 무너지는 동전은 안정적이지 않다. 그렇다면 소프트웨어는 어떨까? 이때 안전성 지표가 등장한다. "I(불안정성) = Fan out / (Fan-in + Fan-out) 안으로 들어오는 의존성을 Fan in, 바깥으로 나가는 의존성을 Fan out이라 한다. 그리고 이 불안정성 I는 항상 [0,1]의 범위를 가지게 되는데 0일 경우 ..
2021.09.03 -
(TIL) 20210902
📕Facts(한 것) 노마드 코더 챌린지 참여하기 -> html, css를 활용한 실습 운영체제 수업듣기 -> 운영체제 개괄적 내용 클린 아키텍쳐 읽기 -> ADP에 관한 내용 프로그래머스 문제풀기 ->문자 압축하기 📕Findings(배운것) 클린 아키텍쳐에서 ADP, 의존성 비순환 원칙에 대한 내용을 읽었다. "컴포넌트 의존성 그래프에 순환이 있어서는 안 된다." '그래프에 순환이 있어서는 안 된다' 라는 내용을 어디선가 본 것 같았다. 아, MST, 최소 신장 트리에는 순환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크루스칼, 프림 알고리즘) 책에서는 의존하는 무언가를 끊임없이 수정하는 이른바 '의존성 무한루프'(본인 피셜)를 '숙취 증후군(the morning after syndrome)'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202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