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8)
-
(TIL) 20211027
📕Facts(한 것) 컬리 클론코딩 풀리퀘 보내기 DDD 스터디 백준 문제풀기 📕Findings(배운것) Webclient를 사용하는 방법을 공식문서를 통해서 천천히 익히고 있다. 백준 자료구조 문제를 파이썬을 통해서 풀면서, 파이썬에 익숙해져가고 있다. 📕Feeling(느낀 점) 컬리 클론코딩 프로젝트가 갑자기 종료 아닌 종료가 되어서 아쉬운 감이 있지만 혼자서라도 어떻게든 완성시켜나가볼 생각이다. 다른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과, 재고 관리를 처리하면 완성이기 때문에 1-2주 안에 완성가능할 듯 싶다. 📕여담 백신을 맞지 않아서 헬스장에 가지 못한다. 덤벨을 구매해서 집에서 운동해야겠다.
2021.10.28 -
(TIL) 20211026
📕Facts(한 것) 컬리 클론코딩 플리퀘 보내기 중간고사 끝 📕Findings(배운것) Spring에서 RestTemplate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고, WebClient를 사용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RestTemplate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WebClient와 비교시 사용자 1000명까지는 속도가 비슷하지만 1000명이 넘어가면, WebClient에 비해서 응답시간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Spring에서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RestTemplate에 관한 지원을 계속 이어오고 있다. 📕Feeling(느낀 점) 중간고사가 끝이나서 후련함 80, 아쉬움 20이 남는다. 조금더 노력했으면 더 잘 볼 수 있었는데.... 이런 생각이 나를 더 성장시킨다는 것을 알고, 매일 더 노..
2021.10.26 -
(TIL)20211018
📕Facts(한 것) 프로그래밍 언어론 공부하기 컬리 클론 코딩 회의하기 📕Findings(배운것) 변수의 지속시간, scope 등에 대해서 공부했다. 확실히 코드와 관련이 많아질수록 이해도가 높아지고 이론적일수록 이해도가 떨어진다.(교수님이 설명을 안 해주는거는 비밀) wiki에 사용자 스토리를 작성하고 유비쿼터스 언어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우리 도메인으로 뭘 할 수 있는가, 관리자는 뭘 할 수 있는가를 적어보았다. 📕Feeling(느낀 점) 시험기간은 언제나 스트레스지만, 성장할 수 있다는 생각에 참고 이겨낸다! 📕여담
2021.10.19 -
(TIL) 20211014
📕Facts(한 것) 웹프로그래밍 공부 및 과제 파이썬 과제하기 프로그래밍 언어론 공부 코드 리뷰하기 📕Findings(배운것) java 메서드 이름을 한글로 지정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메서드 명을 부적절하게 영어로 사용하고 displayName을 통해서 다시 한글로 설명하는 불편한 일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Feeling(느낀 점) CSS 속성이 너무 많아서 일일이 다 외우기 쉽지 않다. 다행스럽게도 웹프로그래밍이 오픈북이기 때문에 찾아보고 하면 될듯하다. 📕여담
2021.10.15 -
(TIL) 20211013
📕Facts(한 것) 웹프로그래밍 공부하기 코드 수정하고 커밋하기 파이썬 과제하기 DDD 회의 및 스터디 📕Findings(배운것) @AllArgsConstructor가 왜 나쁜것인지, @Builder를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지를 배웠다. 이전에는 그냥 쓰니까 쓰나보다하고 썼는데, 잘 찾아보니 둘이 같이 쓸 필요도 없었고, 쓰면 안 되는게 맞는것 같다. 📕Feeling(느낀 점) 몸이 피곤하다. 하루종일 책상 앞에 앉아있으려니 이것만큼 고된 일도 없다. 그럼에도 스터디와 회의를 하면서 얻어가는게 많아서 좋다. 📕여담
2021.10.13 -
(TIL) 20211012
📕Facts(한 것) 웹프로그래밍 공부하기 논리학 공부하기 DDD 프로젝트 풀리퀘보내기 코드 리뷰받고 수정하기 📕Findings(배운것) 오늘 아주 중요한 것을 배웠다. 같이 협업을 할때 어디까지를 분담하는지를 정해야한다는 것이다. 같이 회의를 하고 나는 바로 코드를 짜서 주말에 이미 완성시켰지만, 이걸 풀리퀘를 날려야하나 고민하다가 결국 다른 사람과 코드가 겹치는 일이 발생했다. 역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 📕Feeling(느낀 점) 어떻게 해야 테스트코드를 잘 작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고민했다. Controller 테스트는 mvc를 사용해서 쉽게 작성하지만, Service 테스트는 리포지토리에 의존성이 있으므로 그 실체를 보려면 mapper를 이용해서 객체를 생성해야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2021.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