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8)
-
강 타입 언어
강 타입 언어를 다들 어디선가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안 들어 봤어? 그럼 지금 들어봐~) 📕강약약강인가요?얼추 비슷하다라고 말하고 싶지만 그런건 아니고,강타입의 형태를 구분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고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타입 에러를 항상 검출할 수 있냐' 이다. 사실 앞에 int, float 등등 자료형이 붙으면 강타입인줄 알았는데...(나도 그랬다. 강의 미리미리 들을걸)교수님이 ‘강 타입은~~가 강 타입(Strong type)입니다.’라고 말씀하셨다. 📕강 타입 그게 뭔데? 어떻게 하는 건데나는 이제까지 C/C++을 강 타입 언어로 알고 있었다.이 글을 읽는 사람들도 에?? 라고 생각할 것이다. (아님 말구) 강 타입을 정의를 보자. 타입 에러를 항상 검출할 수 있어야한다. '..
2021.12.04 -
(TIL) 20211201
📕Facts(한 것) 백준 문제 풀기 - boj2358 웹프로그래밍 공부하기 📕Findings(배운 것) 📕Feeling(느낀 점) 아파서 뭘 하나도 못한 하루였다. 아침에 일어나서 백준 문제 풀고 앉아서 수업 들은게 전부인 하루.. 얼른 나아서 다시 열심히 해야지! 📕여담 깔-끔
2021.12.01 -
(코드 컴플리트2) 10장 변수 사용 시 고려할 사항 - 2
코드 컴플리트 10장에서 우리는 '변수'에 대해 알아보고 있었고, 이 글은 변수의 범위부터 시작한다. 📕 선생님, 범위는 어디까지예요??!! 책은 변수의 '범위'를 변수의 명성이라고 말한다. 인기 스타를 상상해보자. 티비의 이 채널에도 나오고, 저 채널에도 나오면 유명하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변수도 그런 셈이다. 이 루틴에도 나오고, 저 루틴에도 나오고, 코드 상단에 선언돼서, 하단에 가서도 사용되는 것이 명성이라고 생각한다. 그럼 이 범위를 왜 나눠야 할까? 예전 원시적인 언어에서는 모든 변수가 전역 변수였다. 모든 변수가 전역 변수이면 변수가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고, 개발 중 여러 실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 C++, 자바에..
2021.11.30 -
(TIL) 20211129
📕Facts(한 것) 백준 문제 풀기 - boj1817 코드 컴플리트 리뷰 학교 수업 수강 운동하기 📕Findings(배운 것) 코드 컴플리트 읽은 것을 정리해보았다. 10장의 양이 상당해서 한 개의 글로만 정리하기는 쉽지 않아서 글을 내일하나 더 쓰려한다. 10부 파트 1은 여기로. (코드 컴플리트2) 10장 변수 사용 시 고려할 사항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많은 어려움과 직면하게 된다. 어떻게 아키텍처를 설계할까, 어떻게 루틴을 설계할까 등등. 이번 장에서는 위의 문제보다는 간단하면서도, 해결하기 까다로운 '변수'라는 mirrorofcode.tistory.com 📕Feeling(느낀 점) 역시 새로운걸 배우고 남들과 나누는 것은 항상 즐겁다. 배우는 게 좋고, 나누는 게 좋다!! 📕여담
2021.11.30 -
(코드 컴플리트2) 10장 변수 사용 시 고려할 사항 - 1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많은 어려움과 직면하게 된다. 어떻게 아키텍처를 설계할까, 어떻게 루틴을 설계할까 등등. 이번 장에서는 위의 문제보다는 간단하면서도, 해결하기 까다로운 '변수'라는 변수를 다뤄본다. 3부 변수 파트에는 변수 사용 시 고려할 사항, 변수 이름의 기능, 기본 데이터형, 특이한 데이터형 등 이렇게 4가지 파트로 나눠져 있고, 이 글에서는 첫 번째 파트인 '변수 사용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서 다뤄보려 한다. 📕 변수가 뭘까? 변수를 직역하면 "변하는 수"이고, 사전적 정의는 "어떤 관계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값으로 변할 수 있는 수."이다. 두 설명에서 공통되는 것은 '변한다'라는 성질이다. 이렇듯 변수는 변하는데, 어떻게 변하며, 언제 변하며, 무엇 때문에 변하는지가 프로그래밍에서 ..
2021.11.30 -
(TIL) 20211127
📕Facts(한 것) 백준 문제 풀기 - boj1789 당근마켓 백엔드 구현해보기 📕Findings(배운 것) 당근마켓을 도메인 주도 설계로 간단히 상품과 유저 부분만 구현해보고 있다. DB는 따로 사용하지 않고, Spring JPA만을 사용해서 진행하고 있다. 진행하는 과정에서 리포지토리가 Bean을 못잡아 주는 문제가 발생해서 entitiy의 위치를 직접지정하니, 401에러가 발생했다. 내일 테스트코드 작성해서 뭐가 문제인지 확인해야겠다. 결론 : TDD를 생활화 하자. 📕Feeling(느낀 점) 코딩은 즐거워. 📕여담
2021.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