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8)
-
(TIL) 20211209 + 전역변수? 조건문?
📕Facts(한 것) 웹프로그래밍 기말고사 코드컴플리트 읽기 📕Findings(배운 것) 코드 컴플리트 전역변수에 대한 내용이 인상깊었다. 전역 변수, 전역 데이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전역적인 값의 보관, 이름 상수의 역할, 열거형 흉내내기 등등 내가 전역변수를 썼던 이유는 '매우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의 사용 능률화' 때문이었다. 내가 사용할 이 변수를 지역변수로 매번 값을 구하기 보다, 전역변수로 선언해서 사용하면 훨씬 간편한 알고리즘 구성이 가능했고, 함수 사용에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잘 사용하면 위와 같은 장점이 존재하지만, 전역변수를 변경시키거나, 쓰레기 값이 저장되는 등의 오류가 가끔 발생하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대책이 필요했다. 책에서는 접근 루틴을 구성하거나, 전역 데이터를 ..
2021.12.09 -
(TIL) 20211206
📕Facts(한 것) 웹프로그래밍 기말고사 준비 UMC 팀 프로젝트 소개 제출 파이썬 과제 제출 코드 컴플리트 2 읽기 -> 못 함 📕Findings(배운 것) 앞으로 다가올 앱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한 계획과 서비스 계획을 세웠다. 내가 만들 앱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어떤 것을 목표로 하는지에 대해 명시했다. 내가 불편함을 느낀 것을 바탕으로 생각한 앱이기 때문에 상대방에게는 필요 없을 수 있다. 그럼에도 이런 시도를 해봐야 좋은 것이 나오지 않겠는가? 📕Feeling(느낀 점) 고민은 끝이 없다. 한 개를 해결하면 또 다른 고민이 생겨난다. 행동하지 않으면 고민이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행동하려해도 그러기 쉽지 않은게 현실인 것 같다. 학교의 대학원을 보던 중 찾던 자연어 처리 대학원이 없어서..
2021.12.06 -
(TIL) 20211205
📕Facts(한 것) 파이썬 과제하기 📕Findings(배운 것) python 모듈 matplotlib에 대해서 공부했다. matplotlib은 각종 그래프를 그릴 수 있는 모듈로, 데이터를 시각화 하는데 사용된다. 오늘 분석한 데이터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관한 백신 접종률로 시각화하는 것으로 어떤 나라의 접종률이 얼마나 높은지를 확인할 수 있다. 📕Feeling(느낀 점) 과제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썼다. 이렇게 오래 걸릴 것이 아니었는데, 주말을 낭비한 느낌 내일부터 다가오는 시험에 대비해야겠다. 📕여담
2021.12.06 -
(TIL) 20211204
📕Facts(한 것) 백준 문제 풀기(이분탐색) 프로그래밍 언어론 공부 📕Findings(배운 것) Statement-Level (two-way selection) 이번 글에서는 Statement-level 그러니까 당한 '~문' 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프로그래밍에서 '~문' 하면 떠오르는 것들이 몇 가지 있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for문, while문, if문, switch 문 등이 있다. 그 mirrorofcode.tistory.com 오늘은 Statement-level에 대해서 배웠다. 사실 배운 내용은 5배 정도 더 많은데 밤 늦은 시간에 정리하려니 너무 피곤해서 차차 정리해서 올려야겠다.(이렇게 얘기하고 안 한게 몇 개 더라...) 📕Feeling(느낀 점)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
2021.12.05 -
Statement-Level (two-way selection)
이번 글에서는 Statement-level 그러니까 당한 '~문' 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프로그래밍에서 '~문' 하면 떠오르는 것들이 몇 가지 있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for문, while문, if문, switch 문 등이 있다. 그럼 이 친구들을 포함하는 대분류는 무엇일까? 궁금하지 않은가? (나만 궁금해?) 우리는 위와 같은 '~문' 들을 이렇게 분류 할 수 있다. Selection Statements(선택문) Iterative Statements(반복문) Unconditional Branching(무조건 분기) Guarded Commands(보호 명령) 그럼 차근차근 알아가보자. 📕Selection Statements(선택문) 먼저 선택문에 대해서 알아보자. (저는 선택한 적이 없는데요?) 선택..
2021.12.05 -
(TIL) 20211203
📕Facts(한 것) 백준 문제 풀기(그리디) 웹프로그래밍 공부하기 프로그래밍 언어론 공부하기 📕Findings(배운 것) 타입변환에 대해서 배웠다. 어떻게 언어가 타입을 검사하고 변환하는지, 연산자에 따른 처리 방법 등을 배웠다. 이것도 나중에 포스팅 해야지. 강 타입 언어 (vs 약 타입 언어) 강 타입 언어와 약 타입 언어를 다들 어디선가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안 들어 봤어? 그럼 지금 들어봐~) 📕강약약강인가요? 얼추 비슷하다 라고 말하고 싶지만 그런건 아니고, 이 두 언어 형 mirrorofcode.tistory.com 📕Feeling(느낀 점) 📕여담 '위드' 없는 '위드코로나'는 언제까지일런지.
2021.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