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176)
-
(TIL) 20211102
📕Facts(한 것) 백준 문제풀기 우테코 지원 📕Findings(배운것) 우아한 테크 코스 지원을 완료했다. 우테코 지원서를 작성하면서 왜 프로그래머가 되고 싶은지, 무엇이 나의 원동력인지를 리마인딩 하는 계기가 되었다. GitHub - mikekang47/dailyPython Contribute to mikekang47/dailyPyth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deque에 관해서 백준 문제를 풀었다. queue와 stack도 리스트로 구현할 수는 있지만, 라이브러리가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관해서도 공부해봐야겠다. 📕Feeling(느낀 점) 📕여담
2021.11.03 -
(TIL) 20211101
📕Facts(한 것) 백준 문제풀기 웹프로그래밍 수업 듣기 📕Findings(배운것) 파이썬에서 우선순위 큐를 처음으로 사용해보았다. C++에서 사용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방법이라서 적응하는데 조금 걸리겠지만 금방 적을 할 것 같다. 학교 코딩 경진대회에 참여한 성적이 나왔다. 약 160명 중에 60등 정도를 했는데, 하나도 준비를 하지 않고 봤는데 막상 문제를 받으니 잘하고 싶은 욕심에 조금 끄적이다 나왔던 기억이 난다. 순위권에는 들지 못해서 아쉽지만,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Feeling(느낀 점) 📕여담
2021.11.02 -
(TIL) 20211031
📕Facts(한 것) 백준 문제풀기 우아한 테크 코스 지원서 작성 📕Findings(배운것) 한 주 동안 5-6개 정도의 문제를 푼 것 같다. 10828번: 스택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www.acmicpc.net https://github.com/mikekang47/dailyPython/blob/master/stack/main.py 9012번: 괄호 괄호 문자열(Parenthesis String, PS)은 두 개의 괄호 기호인 ‘(’ 와 ‘)’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이다. 그 중에서 괄호의 모양이 바르게 구성..
2021.11.01 -
(TIL) 20211029
📕Facts(한 것) 백준 문제풀기 팀플 과제 제출 📕Findings(배운것) 파이썬에서 input().split()은 시간복잡도가 높은것 같다. O(nm) 수준인것 같은데, sys.stdin.readline()을 사용하는게 문제를 푸는데 훨씬 도움이 될 것같다. 📕Feeling(느낀 점) 우테코 유튜브에 있는 영상을 내 나름대로 하나씩 정리해보자고 마음을 먹은지 1주일이 넘었는데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당장 내일부터라도 시작해야 스스로에게 덜 부끄러울 것 같다. 📕여담 오랜만에 집 뒤에 있는 저류지에서 달리기를 했다. 유산소를 하니 라이프 사이클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는 느낌이라 자주 하게 될 것 같다.
2021.10.29 -
(TIL) 20211027
📕Facts(한 것) 컬리 클론코딩 풀리퀘 보내기 DDD 스터디 백준 문제풀기 📕Findings(배운것) Webclient를 사용하는 방법을 공식문서를 통해서 천천히 익히고 있다. 백준 자료구조 문제를 파이썬을 통해서 풀면서, 파이썬에 익숙해져가고 있다. 📕Feeling(느낀 점) 컬리 클론코딩 프로젝트가 갑자기 종료 아닌 종료가 되어서 아쉬운 감이 있지만 혼자서라도 어떻게든 완성시켜나가볼 생각이다. 다른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과, 재고 관리를 처리하면 완성이기 때문에 1-2주 안에 완성가능할 듯 싶다. 📕여담 백신을 맞지 않아서 헬스장에 가지 못한다. 덤벨을 구매해서 집에서 운동해야겠다.
2021.10.28 -
(TIL) 20211026
📕Facts(한 것) 컬리 클론코딩 플리퀘 보내기 중간고사 끝 📕Findings(배운것) Spring에서 RestTemplate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고, WebClient를 사용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RestTemplate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WebClient와 비교시 사용자 1000명까지는 속도가 비슷하지만 1000명이 넘어가면, WebClient에 비해서 응답시간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Spring에서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RestTemplate에 관한 지원을 계속 이어오고 있다. 📕Feeling(느낀 점) 중간고사가 끝이나서 후련함 80, 아쉬움 20이 남는다. 조금더 노력했으면 더 잘 볼 수 있었는데.... 이런 생각이 나를 더 성장시킨다는 것을 알고, 매일 더 노..
202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