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D(2)
-
(방법론) BDD와 TDD, 그리고 DDD(행동 주도 개발, 테스트 주도 개발, 도메인 주도 개발)
클린 아키텍처를 다시 읽으면서 BDD에 관한 언급이 아주 짤막하게 있었다. 테스트는 시스템의 일부인가? 아니면 별개인가? 어떤 종류의 테스트카 있는가?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는 서로 다른가? 인수 테스트, 기능 테스트, Cucumber 테스트, TDD 테스트, BDD 테스트, 컴포넌트 테스트 등은 어떻지? - 28장 테스트의 경계, 262p 그래서 나는 BDD가 무엇인지 찾아보게 되었고, 아주 놀라운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BDD(Behavior driven development) 직역하자면 '행동 주도 개발'이다. 어떤 행동을 말하는 것일까? 이 행동은 비지니스 로직에 관한 행동 일 것이다. (역으로 생각하면 BDD의 특징이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이니) '할인된 상품의 목록을..
2022.07.21 -
(TIL) 20211004
📕Facts(한 것)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기 DDD 3부까지 읽고 정리하기 운영체제 강의 듣기 운동하기 📕Findings(배운것) DDD 책을 읽고 1부를 요약하여 풀리케스트를 보냈다. 학교 코딩대회에 지원하였고, 입상을 노리지는 않지만, 문제를 풀기위해서 프로그래머스에서 파이썬으로 꾸준히 문제를 풀고 있다. 대부분 책에서 얘기하고 싶은 바는 처음에 나와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DDD역시 그런것 같다. 도메인 주도 설계가 왜 필요한가? 라고 묻는다면, 올바른 소통과 지식 탐구를 통해서 좋은 모델을 설계하기 위함이라고 말하겠다. (아직 덜 읽었지만) 📕Feeling(느낀 점) TIL을 다시 쓰기 시작하니 평소보다 조금 열심히 살았다고 느껴진다. 내일은 더 열심히 살아야지. 📕여담
2021.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