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지식(66)
-
(Java) 문자열 잘라 배열에 저장
코딩 테스트 혹은 알고리즘 문제를 접하다보면 무수히 많은 문자열 문제를 접하게 된다. 자바는 언어 중에서 좀 문자열에 불친절한 언어이기 때문에 답답할 때가 종종 있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어차피 쓸거 잘 써보자. 자바에서는 문자열을 자르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존재한다.(delimiter로) 첫 번째는 split을 사용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StringTokenizer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럼 split부터 알아보자. 🏴String.split() 자바 String에는 기본 메서드로 split을 제공해준다.(고맙다) 그리고 이 split은 배열은 반환한다.(개꿀)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 = "abc def..
2022.03.12 -
(Docker)도커에서 ubuntu 설치, 설정하기
※이 글은 Mac OS를 기반으로 작성되었고, 도커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Docker는 배포를 하기 위한 최적의 툴이라고 할 수 있다. 컨테이너를 통해서 여러 OS를 사용할 수 있고, 메모리도 적게 사용하며, 간단한 명령어로 버전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런 Docker에 대한 간단한 설명의 아래의 포스팅에서 확인하자. (TIL) 20210109, 배포와 도커 📕Facts(한 것) 팀원들과 모여서 ERD 설계 JPA에 대하여 심도깊은 대화를 나누려다 실패 배포 방법 결정 앱 디자인 거의 완료 📕Findings(배운 것) 항상 간단한 도메인만 설계했어서 ERD 설계를 따로 mirrorofcode.tistory.com 도커에서 배포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OS를 설치해보려고 한다..
2022.03.07 -
TCP가 뭘까?
앞선 IP 관련 게시글을 보고 온 분은 IP만 가지고는 원활한 인터넷 통신이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TCP/UDP 가 존재한다. TCP/UDP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4계층(TCp/IP 4계층)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하다. 이렇게 TCP/IP는 총 4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있다. 가창 하단에 존재하는 1계층은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2계층은 인터넷 계층, 3계층은 전송 계층, 4계층은 응용 계층이다. 액세스 계층은 OSI 7계층에서 물리적 계층과 데이터 링그 케층에 해당되며 LAN, 이더넷, wifi 등에 사용된다. 인터넷 계층은 OSI 7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며, 노드간의 IP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담당..
2022.03.05 -
(네트워크) IP란 뭘까?
컴퓨터 전공이 아니어도 IP라는 말을 우리는 자주 사용한다. (아닌가?) 그럼에도 우리는 IP가 정확하게 뭔지 모르고 사용할 때가 많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오늘 IP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 IP(internet protocol), 가까운 듯 먼 그대 내 컴퓨터와 내 친구 컴퓨터간 통신을 하고 싶다. 그럼 이 두 컴퓨터는 어떻게 통신할 수 있을까? 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IP 주소이다. 통신에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필요하고, 이 송/수신자 모두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통신이 가능하다. 그럼 IP는 어디다 쓰냐, 바로 IP주소에 데이터 전달의 역할을 한다. 이 데이터는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전달한다. 그럼 이 통신 단위, 패킷에는 뭐가 들어갈까? 여기에 바로 출발지..
2022.03.03 -
logging이란?
🏴Debugging에 대한 이해 아이러니하게도 Logging에 대한 이해가 있으려면 Log에 대해 알아야하고, Log에 대한 이해가 있으려면 Debugging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한다. 그럼 디버깅이 뭘까? De + bug + ing 버그는 실행파일 안에 존재하는 오류들을 버그라고 한다. 그래서 디버깅은 이 오류들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왜 로그와 디버깅이 연관관계가 있을까? 그것은 바로 디버깅의 과정을 로그를 확인하며 진행하기 때문이다. 🏴Log에 대한 간단한 이해 로깅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로그'가 뭔지 알고 있어야한다. 로그가 뭘까? 로그는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기록'(from HowToBeAProgrammer)이다. 그러니까 시스템상에서 일..
2022.02.23 -
(Spring) MVC에 대해서
🏴들어가며 Spring이 있기 전의 방식을 구현해본 사람이라면 스프링이 얼마나 마법 같은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마법같은 것을 이해해야 비로소 마법에서 기술이 되지 않겠는가? 그래서 그 첫 번째 시작을 MVC에서 부터 시작하려 한다. (MVC는 제록스 연구소에서 일하던 트뤼그베 린즈커그가 처믐으로 소개한 개념으로, 데스크톱 어플리케이션용으로 고안되었다.) 🏴MVC란? MVC가 뭘까? (MVP 아님)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다. 그럼 각각의 Model, View, Controller에 대해서 알아봐야할 것이다. Model은 view가 렌더링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getTasks를 실행할때 Tasks가 있어야 불러오지 않겠는가? 이때..
20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