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7)
-
(TIL) 20210707
📕Facts(한 것) 이펙티프 파이썬 읽기 백준 문제풀기 📕Feeling(느낀 점) 서울 당일치기! ktx에서 간단하게 백준 문제 풀고 서울에서 전시 관람 후 저녁 먹고 내려왔다...! 피보나치 함수 문제를 풀었는데, 재귀로 풀면 시간초과가 발생해서 DP 반복문을 이용해서 푸니까 풀렸다! 계속 틀리니까 짜증나서 풀릴때 까지 잡고 있었던 것 같다. 스프링 복습은 결국 하지 못했다. 내일 아침에 다시 해야지.. 📕여담
2021.07.07 -
(TIL) 20210706
📕Facts(한 것) 스프링 복습하기 AI파이썬 공부하기 백준 문제 풀기 이펙티브 파이썬 읽기 📕Feeling(느낀 점) 남은 백준 class2 문제를 모두 풀었다. 남은 문제들이 모두 지문이 길어서 안 풀고 있었는데, 막상 읽어보니 실제 필요한 내용은 한 두줄 짜리라서 금방 읽고 풀었다. 마지막에 마인크래프트 문제가 조금 까다로웠는데, 질문 게시판을 보고 해결했다. 자바로 서버를 구성하는 것을 복습했는데 여전히 patch와 delete는 보지 않으면 쉽게 구현하지 못한다. 철저한 복습이 필요하다. 혹시 스프링 없이 코딩해야할 상황을 대비해서.... 📕여담 몸이 피곤해서 운동도 적당히 하고 왔다. 렉풀+풀업+로우 조합으로 한 시간 끝.
2021.07.06 -
(Java) InetSocketAddress, HttpHandler 문법 및 사용
📕InetSocketAddress InetSocketAddress에 관한 oracle 공식 문서를 보면 다음과 같다. InetSocketAddress는 IP 소켓 주소(IP 주소 + 포트 넘버) 이다. IP 소켓 주소 뿐만 아니라, hostname과 portname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위의 경우를 코드로 한번 보자. // If the port parameter is outside the range of valid port values, or if the hostname parameter is null. // -> IllegalArgumentException will be occured // 포트로만 구성 // 0
2021.07.05 -
(TIL) 20210705
📕Facts(한 것) 스프링 복습하기 AI파이썬 둘러보기 백준 문제 풀기 이펙티브 파이썬 읽기 📕Feeling(느낀 점) 전에 들었던 코드숨 스프링 강의를 다시 들으면서 method 하나 하나의 의미를 파악하면서 공부해나가고 있다. 네트워크에 관한 지식이 부족해서, 네트워크 공부를 같이 하면서 복습해야할 것 같다. 머신러닝에 관심이 생겨서 부스트 코스를 통해서 AI 파이썬 강의를 듣고 있다. 첫 부분이라 그런지 reduce, split, join등 간단한 문법이 나왔기 때문에 크게 복습할 내용은 없었다. 부스트 코스에서 파이썬 관련 책을 여러권 추천 받았고, 그 중에 이펙티브 파이썬을 조금씩 읽고 있다. 앞으로 자바/ 스프링 관련 포스팅을 이어갈 예정이다 오늘 쓴 글은 여기에서 확인. https://mi..
2021.07.05 -
(TIL) 20210704 + 네이버 웹툰 시험 후기
📕Facts(한 것) 친구 만나기 네이버 웹툰 시험 보기 📕Feeling(느낀 점) 시험은 오후 2시에 시작해서 시험시간 총 120분, 3문제가 출제되었다. 평소 C++을 코테 주 언어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 시험에서는 각각 직무별로, 사용하는 언어가 정해져 있었고, 내가 지원한 백엔드는 자바를 1차 코딩 테스트 언어로 지정하고 있었다. (그래서 자바에 대한 감을 되찾기 위해서 2일 동안 프로그래머스 레벨 1문제를 전부 자바로 다시 풀었다.) 다행히도 코딩테스트 도중 코드 복붙, 검색 등 모든 것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생각보다 여유로웠다. 1번 문제는 너무 쉬워서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구현 문제였는데, 푸는데 20분이 채 안걸렸던 것 같다. 1번 문제 다음, 2번과 3번 문제를 각각 읽고, 쉬운 문제..
2021.07.04 -
(TIL) 20210703
📕Facts(한 것)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기 Java 공부하기 운동하기 📕Feeling(느낀 점) 결국 프로그래머스 레벨 1문제를 전부 자바로 다 풀었다. 내일을 대비한다는 느낌보다는 자바를 잊어버리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풀었던것 같다. C++로 문제를 풀다가 count해주는 메서드가 분명히 있을텐데 싶어서 reference에 찾아보니 역시나 헤더에 포함되어 있었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vector arr = {1,1,1,4,5,8, 9}; cout
2021.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