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DML, DDL, DCL
2022. 2. 20. 17:42ㆍ개발 지식
반응형
DML(Data Maniupluation Language)
DML이라는 이름을 뜯어 보면 그 뜻을 알 수 있다.
Data(정보)를 Manipulation(조작) 하는 Language(언어) 이다.
정말 간단하지 않은가!
그럼 어떤게 DML일까? 어떤게 정보를 조작하는 언어일까?(사실 단어에 가깝다)
정보를 추가하는 INSERT
정보를 수정하는 UPDATE
정보를 삭제하는 DELETE
정보를 조회하는 SELECT 등이 있다.
DDL(Data Definition Language)
DDL도 마찬가지다.
정보를 정의(+조작)하는 언어이다.
정보를 정의한다고? 정의할게 뭐가 있을까?
우리는 DB를 사용할 때 가장 처음으로 스키마를 정의(생성)한다.
그리고 조작으로는 테이블 삭제를 하는 DROP,
테이블을 변경하는 ALTER가 있다.
DCL(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를 제어하는 언어이다.
그리고 권한 부여, 권한 파기, 롤백, 커밋, 트랜젝션 등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DDL이다.
DDL은 데이터의 보안, 무결성 등을 정의한다.
GRANT, REVOKE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반응형
'개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VC에 대해서 (0) | 2022.02.21 |
---|---|
(Java) JDBC란? (0) | 2022.02.20 |
(Database) 인덱스(index)가 뭐고 왜 쓸까? (0) | 2022.02.20 |
JAVA - JVM에 대해 알아보자 -1 (0) | 2022.02.18 |
Java ClassLoader(클래스로더)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 -1 (0) | 2022.02.18 |